치매 치료비관리비 지원이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2024년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 내용이 나와있어서 공유해보고자 포스팅을 쓰게 되었습니다. 2024년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 내용을 확인하시고 신청 방법에 알아봅시다.
2024년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이란?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의 취지는 치매를 조기부터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에 있습니다. 치매도 골든타임이라 불리우는 치료시기가 있다고 합니다. 그 시기를 놓치면 치료하는데 더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치매가 국가책임제로 발표된 2018년 9월 이후로 전국에 있는 보건소에 치매안심센터를 설치하여 치매의 조기검진과 상담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치매지원센터 전문 인력도 늘려가며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전국 치매역학연구에 따르면 경도 및 최경도 치매환자가 70%나 된다고 합니다. 이에 정부는 치매증상을 호전시키는데 힘쓰고 증상이 심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돕고 노후 삶의 질 제고와 사회경제적인 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치매의 종류
치매는 뇌기능의 손상으로 인지능력이 저하되거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저하되는 질환입니다. 정상적으로 생활하다가도 여러가지 원인으로 뇌기능의 손상이 오면서 전과 다르게 인지능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상태가 되는 질환입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알츠하이머도 이에 해당되고, 알콜성 치매, 파킨슨병 치매, 혈관성 치매나 루이체 치매 등 치매는 여러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매의 단계로는 건망증, 경도인지장애, 치매로 진행이 됩니다. 파킨슨병 치매는 파킨슨병이 먼저 나타난 후에 치매로 발전되는 경우입니다. 알코올성 치매는 과도한 음주 습관이나 높은 음주 의존도로 발병하게 되는 것으로 지속적이거나 알코올 섭취가 과하면 뇌 손상을 유발하고 뇌 기능 퇴행을 빠르게 진행시킵니다. 초로기 치매는 가족력이 있을 수 있고, 과도한 스트레스나 뇌의 충격 또는 출혈로 인해 후천성인 뇌 상해로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알츠하이머 치매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질환입니다. 노인성 치매 중 하나이고 노화로 인한 뇌 기능 저하, 인지기능 저하가 된 상태입니다. 노화에 따라 발병되는 것이므로 서서히 발병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혈관성 치매는 당뇨나 고혈압, 고지혈증 등 뇌혈관질환으로 뇌조직의 손상이 왔을 때 치매가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2024년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 내용
치매 치료관리비는 상시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전화로 자세한 사항을 문의하고 싶다면 치매상담콜센터 관할 보건소인 치매안심센터로 연결하시면 됩니다. 전화번호는 1899-9988 입니다. 치매 치료관리비의 지원은 치매치료관리비의 보험급여분 중에 본인부담금에 대해서 3만원 상한 내 실비 지원이 가능합니다. 매달 3만원 연36만원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여기에서 본인부담금은 치매약제비 본인부담금과 약 처방 당일의 진료비 본인부담금을 말합니다. 비급여항목은 제외되는데 상급병실료도 마찬가지로 제외되는 부분입니다. 차상위계층이나 치매 기초생활수급자는 전액이 지원이 가능하다고 하니 이부분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치매 치료관리비 신청 방법
치매 치료관리비 신청 방법은 당사자의 주민등록주소지 관할 보건소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관할 보건소의 치매안심센터에 신청하시면 되고, 방문 신청, 우편이나 팩스로 신청, 전자우편 제출도 가능합니다. 치매 치료관리비의 지원 대상은 치매안심센터에서 치매환자로 등록된 자여야 하고,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을 받고자하는 경우 신청이 가능합니다. 선정기준이 중요한데, 꼭 이 부분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선정기준으로는 연령기준, 치료기준, 진단기준, 소득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연령기준은 만 60세 이상이어야 하는데 초로기 치매환자도 가능합니다/ 치료기준은 치매 치료제 성분이나 혈관성치매 성분이 포함된 약을 처방받으면 가능합니다. 진단 기준은 의료기관에서 치매에 해당하는 상병코드로 진단을 받아서 치매환자가 확인이 되어야 합니다. 치매치료약의 해당여부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약제급여목록표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약제급여목료표>의료정보>의약품 정보>자료 공개를 눌러 확인하시면 됩니다. 또한 소득기준이 기준 중위소득의 120%이하인 경우에 가능합니다.
치매안심센터
위에 해당하지 않고, 미리 상담이나 검사라도 받아보고 싶다 하는 분이 계시다면 전국 시군구 보건소 256개소에 설치된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만 60세 이상이라면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좀 더 좋습니다. 치매 초기 검진이나 1:1 사례관리도 가능하고 복지, 보건, 의료적인 서비스연결 등의 치매통합관리를 체계적으로 받을 수가 있습니다. 이 부분은 만 60세 이상이라면 누구나 가능한 부분이니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아직 많은 사람들이 이 좋은 제도를 모르고 있습니다. 신청방법이 까다로워보이지만 조건에만 충족된다면 신청이 가능한 부분이니 꼭 확인하셔서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건강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 대상 신청방법 (1) | 2024.02.03 |
---|---|
경기도 누구나돌봄 지원 접수 방법 (0) | 2024.02.02 |
코로나19 백신 집중접종 운영 예약 감염병 예방 (0) | 2024.01.31 |
노년층 건강 지원 서비스 119 응급안전 예방접종 (1) | 2024.01.31 |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챌린지 (1) | 2024.01.30 |